본문 바로가기

윤유빈의 내 맘대로 세계여행

[윤유빈의 내 맘대로 세계여행]④아시아-네팔 편

웅장한 히말라야서 인생의 '쉼표'를 배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벽녘, 구름을 열어 젖힌 태양이 히말라야 산맥 8000m급을 대표하는 안나푸르나 봉우리를 비추었다.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 이름이 희한하네. 도시 이름에 웬 만두냐."

어렸을 적 지도를 펴놓고 친구들과 한바탕 웃었던 기억이 난다.

네팔이란 나라는 그렇게 생소한 이미지로 각인돼 있다. 머리가 굵어진 후에도 마찬가지. 왕이 다스리는 나라(현재는 공화국으로 전환 중이다), 국민소득에 비해 행복지수가 높은 후진국 정도가 네팔에 대해 아는 전부였다. 적어도 네팔을 직접 경험하기 전까지는 그랬다.

고작 보름간의 여정으로 네팔에 대해 논한다는 건 건방을 떠는 일이다. 다만, 이번 여정을 통해 나는 히말라야 중턱에 자리한 이 힌두인의 나라를 이해하는 법을 배웠다.

네팔은 산악국가다. 만년설의 히말라야 산맥이 나라 전체를 병풍처럼 감싸고 있다.

힌두인의 나라 네팔, 소박하고 착한 삶 누려

수도 카트만두를 거쳐 히말라야 등정을 위한 베이스캠프인 포카라에 발을 디디는 순간, 네팔인에게 산은 숙명이란 걸 깨닫는다.

포카라에서는 고개만 돌리면 8000m급의 설산이 눈에 밟힌다. 여염집 담장 뒤로, 골목길 전신주 너머로 어김없이 웅장한 산이 자리하고 있다. 심지어 뒷간에 앉아 일을 보다 고개를 들어도 처마 사이로 히말라야를 감상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팔에는 여염집 담장 너머에도, 골목길 전신주 사이에도 어김없이 히말라야가 자리한다.  
 
네팔인은 히말라야를 '어머니'라 부른다. 그래서일까. 산을 닮은 그들은 하나같이 순박하고 착했다. 그 덕에 여행 내내 사주경계를 늦추지 않던 나는 모처럼 홀가분한 기분으로 거리를 활보할 수 있었다.

히말라야가 자식들에게 물려준 건 비단 심성만이 아니다. 포카라는 대자연을 만끽하려 몰려드는 관광객으로 연일 북새통을 이룬다. 이들이 지출하는 관광비용은 도시를 떠받치는 주요 수입원이다. 히말라야는 변변한 공장 하나 없는 포카라의 젖줄인 셈이다.

히말라야의 또 다른 이름은 '스승'이다. 산을 오르려, 혹은 그저 산을 바라보려 네팔을 찾는 이들 모두 제 나름대로 깨달음을 안고 집으로 향한다. 애써 배우려 하지 않아도 '트레킹'을 통해 거대한 설산을 마주할 때면 자연스레 그렇게 된다. 나 역시도.

등산과 맥을 같이하는 트레킹의 목적은 8000m급의 설산을 좀 더 가까이서 느끼기 위해 산을 오르거나, 좌우로 횡단하는 행위다. 등산로가 한정된 우리네 산에 비해 규모가 큰 히말라야의 트레킹 코스는 그 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다.

나는 3000m 상당에 자리한 푼힐(Poon Hill) 전망대를 목표로 나흘짜리 코스를 택한 후 히말라야에 발을 디뎠다.

산이라면 군대에서 지겹도록 오르내린 예비역 병장이다. 자신에 찬 발걸음이 가볍다. 콧노래도 새어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히말라야 3000m 상당에 자리한 푼힐 전망대. 이른 새벽 많은 사람들이 히말라야의 일출을 보기 위해 몰려들었다.  
 
한 시간이나 채 지났을까. 평탄하던 산길이 굽이치더니, 오르막이 끝없이 이어졌다. 숨이 턱까지 차오르고, 땀이 비 오듯 흘렀다. 좀 전의 거만함을 탓하는지 히말라야의 산등성이는 점점 더 경사를 높였다. 기다시피 산을 오르다 보니 짜증이 밀려왔다.

악을 쓰며 걷기를 수 시간, 한계가 왔다. 다리가 꼬이고 발목이 제 맘대로 꺾이더니, 결국 엉덩방아를 찧었다. 아무렇게나 등을 기대고 돌아앉는 순간, 히말라야의 정경이 눈에 들어왔다. 아름다웠다.

쉼 없이 산을 오르느라, 그동안 등 뒤로 펼쳐진 풍광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

한참을 그렇게 앉아 산등성이를 바라봤다. 5월의 녹음 사이로 시원한 물줄기의 계곡이 자연스럽게 장관을 이뤘다.

사방 천지가 설산…그 장관에 감탄 절로나와

인생도 똑같다는 생각이 든다. 앞만 보고 달려오는 동안 우리는 얼마나 많은 것을 스쳐 보내야 할까.

그중에는 분명히 놓쳐서는 안 될 소중한 무언가가 있으리라. 가끔은 삶에도 '쉼표'가 필요한 이유다.

우여곡절 끝에 해발 3000m 높이에 자리한 푼힐 전망대에 올랐다. 이른 새벽의 일출, 설산을 휘감는 벌건 빛의 향연은 그간의 고생을 충분히 보상할 정도로 감동적이었다. 트레킹 코스로 푼힐을 선택하기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워낙 다양한 지점에 전망대가 있다 보니 가끔 트레킹 코스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질 때가 있다.

누구는 "더 높은 곳에서 봐야 제대로 볼 수 있다"고 말한다. 또 다른 이는 "왼쪽 측면이 훨씬 멋있다"고도 말한다.

이에 대해 십수 년간 트레킹 가이드를 해 온 현지인의 말이 인상적이다.

"설산은 어느 지점에서 바라보나 그 만의 독특한 멋이 있다. 고도가 높건 낮건, 좌·우측이건 상관없이 하나같이 경외롭다.

당신은 그저 자신의 취향과 시간, 체력을 고려해 적절한 목표를 정하면 된다."

좀 뜬금없긴 하지만 이 말을 듣는 순간 소싯적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꿈은 원대해야 한다'고 배워왔다.

학창시절 통지표 귀퉁이의 '희망사항'란에 소박한 꿈을 적었다간 주위에서 타박이 날아들기 일쑤다. 자의든 타의든 열에 아홉은 '과학자'나 '의사', '판·검사'를 적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일까. 성인이 된 후에도 지향하는 바가 크게 다르지 않다. 명예, 권력, 돈 등 행복을 재는 잣대가 정해져 있다.

자꾸만 현지 가이드의 말이 귓전을 맴돈다.

"고도가 높건 낮건, 좌·우측이건 하나같이 경외롭다…."

[지구별 단상] 가축들도 계급이?
신성시되는 소·개 팔자도 상팔자…등짝 가득 짐 실은 당나귀는 '푸대접'  

 
사용자 삽입 이미지
 
 
  힌두인의 나라 네팔. 이곳에선 가축 사이에도 계급(?)이 있다. 종교적 이유로 신성시되는 소에 비해 당나귀의 삶은 고단하기 그지없다. 등짝이 휘어지도록 많은 짐을 실은 당나귀 무리가 히말라야를 넘는 모습이 가엾다.  
 
네팔에서 가축은 발에 차이는 돌멩이만큼이나 흔하다. 어딜 가나 산만한 덩치의 소를 비롯해 당나귀, 닭, 개 등의 가축이 사람과 한데 뒤섞여 있다. (무슨 이유에선지 돼지는 보기 힘들다) 도시 전역에서 방목을 하는 셈이다. 시골에서 우리를 만들어 가축을 기르는 우리네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카스트 제도'가 존재하는 힌두인의 나라여서일까. 가끔 가축 사이에서도 신분(?)의 차이를 느낀다. 이들에 대한 사람들의 대접이 각기 다르다는 얘기다.

종교적 이유로 신성시되는 소는 사람 못지 않은 대우를 누린다. 느릿느릿 거리를 활보해도 누구 하나 소를 몰거나 회초리를 들지 않는다. 다들 소를 피해 둘러갈 뿐. 심지어 도로를 막아서도 운전자들은 소의 행렬을 가만히 지켜본다.

개 팔자도 상팔자다. 네팔에서 개를 묶어 키우는 경우는 없다. 이들은 낮이건 밤이건 골목을 누비다 시원한 그늘 아래서 단잠에 빠져들곤 한다.

남은 건 당나귀와 닭, 상대적으로 푸대접을 받는 불행한 가축이다. 이들의 우열은 히말라야에서 갈렸다.

수천 미터의 히말라야를 터전으로 살아가는 네팔인은 마을과 마을 사이의 교역을 위해 당나귀를 이용한다. 교역품은 주로 닭이나 쌀, 건축자재 등이다.

산을 오르다 보면 닭장을 실은 당나귀가 유독 많다. 등짝이 휘어지도록 주렁주렁 닭을 싣고 가는 모습이 안쓰럽다. 무정한 상인은 힘에 겨워 마른 콧김을 쏘아대는 당나귀에게 가차없이 회초리를 든다. 당나귀에 실려 편히 산을 오르는 닭의 삶이 그나마 나아 보이는 이유다.

히말라야 산자락에서 가련한 당나귀를 보고 속으로 빌었다.

"다음 생엔 부디 소로 태어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