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유빈의 내 맘대로 세계여행

[내 맘대로 세계여행]⑧ 아시아-인도 델리·아그라 편

종교, 그 맹목적 열기가 빚어낸 갈등과 반목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도를 대표하는 건축물인 아그라의 타지마할은 강성했던 이슬람 왕조인 무굴제국 때 지어진 무덤이다. 이는 현재 대립하고 있는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문제가 수 세기 전부터 시작됐음을 말해준다.  
 
여행의 최대 난관은 뜻하지 않은 '재해'다. 다행히 인도 여정 중 자연재해 앞에 숨죽일 만한 일은 없었다. 50도가 넘는 불볕더위에 고전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불편함에 지나지 않는다. 문제는 인간의 불찰로 불쑥 찾아드는 인재다. 특히 종파와 민족 간 적개심이 빚어내는 '테러'는 여행자의 목숨마저 위협하는 악재다.

풍성한 볼거리 덕에 북인도의 '골든 트라이앵글'로 불리는 델리·아그라·자이푸르. 이 지역에 대한 일정을 수일 앞두고, 느닷없이 자이푸르에서 폭탄 테러 소식이 날아들었다. 어떤 상황에서도 'No problem'을 외치는 현지인조차 자이푸르 행을 만류할 정도로 상황은 심각했다. 결국 톱니바퀴처럼 맞물려야 할 '골든 트라이앵글' 여정은 한쪽 '이'가 빠진 채 진행됐다.

이번 참사는 힌두교와 이슬람교 양 종파 간 갈등으로 발생했다. 방글라데시에 거점을 둔 이슬람 분리주의 무장단체가 자신들의 소행이라 주장한 폭탄 테러로 80여 명의 무고한 목숨이 희생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힌두교에 대한 이슬람교의 승리를 자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일종의 전승기념탑.  
 

인도에서 두 종교의 반목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1949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인도는 종교의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고, 힌두교 중심의 인도와 이슬람교 중심의 파키스탄·방글라데시로 찢어졌다. 이후 국경지대인 카슈미르를 비롯해 곳곳에서 상대 종교를 향한 무차별적 테러가 끊이질 않고 있다.

두 종교의 갈등이 수 세기 동안 켜켜이 쌓여온 점에 비추어, 당장 해결국면을 찾기란 힘들어 보인다. 델리와 아그라에서 목격한 역사의 흔적이 이를 반증한다.

힌두-이슬람교, 수 세기 동안 대립…최근 상대 종교 향한 무차별적 테러 끊이지 않아

'골든 트라이앵글'의 두 축인 델리·아그라의 유적은 하나같이 이슬람교와 관련된 것들이다. '붉은성', '후마윤의 무덤', '꾸뜹미나르' 등 델리를 대표하는 상징물과 '타지마할', '아그라성' 등 아그라의 유적 모두 16세기 초부터 인도를 지배했던 이슬람 왕조인 무굴제국(1526~1761)의 작품이다.

무굴제국은 당시 힌두 문화권이던 인도를 송두리째 집어삼킬 정도로 강성했다. 이들은 이슬람교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힌두사원을 파괴하고, 그 위에 모스크와 승전탑을 지었다. 다시 힌두교가 패권을 쥔 오늘날 이슬람 문화의 잔재를 바라보는 힌두인의 시선이 곱지 않은 이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굴제국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만큼 붉은성에는 이슬람인 관광객이 많다. 최근 자이푸르 폭탄테러 여파로 입구에서의 검문이 강화되었다.  
 

두 종교의 대립으로 델리와 아그라를 여행하는 내내 삼엄한 검문·검색이 이어졌다. 자이푸르 폭탄테러와 맞물려 분위기가 더욱 살벌했다.

수많은 인파를 상대로 일일이 몸수색을 하는 통에 유적지에 들어서기까지 하세월을 보내야 했다. 온몸을 샅샅이 훑은 후 이어지는 소지품 검사. 끓어오르는 뙤약볕 아래서 가방 속 내용물을 파헤치길 반복하자 유적지를 돌아보기도 전에 몸과 마음이 지쳤다. 심지어 시내에 있는 극장이나 상점에 들어갈 때조차 삼엄한 검색대를 통과해야 했다.

행동 하나하나에 감시의 눈초리가 쏟아지자, 마치 사지가 묶인 기분이 들었다. 내적인 자유와 행복을 위해 태동한 종교가 오히려 인간의 마음을 구속하는 모순적인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 셈이다.

어떤 종교도 다른 믿음을 배격하고, 파괴할 권리는 없다. 오히려 종파를 막론하고 모두 이웃을 사랑하고, 베풀며 살도록 가르친다. 인도를 포함해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는 종교분쟁은 비뚤어진 종교관이 낳은 '사이비 믿음'에 불과하다.

법정스님의 말이 귓전을 맴돈다.

"종파를 물을 것 없이 '광신'은 그 자체가 독성을 지닌다. 인간이 이성을 잃고 맹목적인 열기에 들뜨면 종교의 보편성을 망각하게 된다. 마치 한쪽 가지만을 붙들고 오로지 그것만이 나무 전체라고 고집하는 것과 같다. 더 직선적으로 말한다면 진정한 종교인은 종교 그 자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야 한다."

[지구별 단상] 타지마할의 가슴 저린 사연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샤 자한의 슬픈 사랑이야기 때문인지 아그라를 찾는 관광객 중에는 유독 연인이 많다. 샤 자한이 자신의 아내를 그리다 생을 마감한 아그라성 망루에서 한 연인이 타즈마할을 바라보며, 귓속말을 주고받고 있다.  
 
'인도를 대표하는 건축물',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리석 건물', '정방형 대칭의 미학' 등 아그라의 타지마할을 수식하는 용어는 화려하다. 하지만, 정작 타지마할이 세인의 발길을 잡아끄는 것은 이 같은 명성 뒤에 숨은 가슴 저린 사연 때문이다.

타지마할은 무굴제국의 제5대 황제였던 샤 자한이 자신의 아내 뭄타즈 마할을 위해 지은 무덤이다.

아내에 대한 사랑이 각별했던 샤 자한은 뭄타즈 마할이 출산 도중 목숨을 잃자, 머리가 하얗게 셀 정도로 깊은 슬픔에 빠졌다고 전해진다. 아내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을 증명하려는 듯 그는 천문학적인 공사비와 22년이라는 긴 세월을 들여 타지마할을 건설한다.

항상 무덤 곁에서 아내를 지키겠다는 샤 자한의 애틋한 마음은 오래가지 못한다. 무리한 공사로 나라가 휘청이자, 아들 아우랑제브가 그 책임을 물어 아버지 샤 자한을 아그라성에 감금한 것.

샤 자한은 먼발치에서 아내의 무덤을 그리다 쓸쓸히 생을 마감한다.

/경남도민일보 윤유빈 객원기자 (원문보기)